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07-09 22:47
Today
Total
관리 메뉴

해킹공주의 일상

AWS RDS와 Aurora의 차이점 및 간단 비교 본문

사이드 프로젝트/클라우드

AWS RDS와 Aurora의 차이점 및 간단 비교

7.3.7 2025. 2. 12. 17:07

1. 개요

두 서비스 모두 AWS 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인데, 간단하게 비교해보면 좋을것같다

 

2. 차이점 및 비교

두 서비스의 차이는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느냐"에 있다

 

 

1️⃣ 데이터 저장 방식이 다름

📌 RDS:

  • 데이터베이스가 하나의 서버에 저장됨.
  • 만약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백업한 데이터에서 복구해야 함.
  • 읽기 속도를 높이려면 따로 "읽기 전용 복제본"을 만들어야 함.

📌 Aurora:

  • 데이터를 6개의 복사본으로 자동 저장! (3개는 한 데이터센터에, 나머지 3개는 다른 데이터센터에)
  • 한 곳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곳에서 자동으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어서 안정성이 높음.

📌 쉽게 말하면?
👉 RDS는 종이 책 1권을 쓰는 것 같고,
👉 Aurora는 같은 책을 6곳의 도서관에 둬서 어디서든 빌려볼 수 있는 것과 같아! 📚

 

 

 

2️⃣ 읽고 쓰는 방식이 다름

📌 RDS:

  • 보통 한 대의 서버가 모든 읽기/쓰기 작업을 처리함.
  • 부하가 커지면 읽기 전용 서버를 추가해야 해서 속도 확장이 어렵고 느림.

📌 Aurora:

  • 기본적으로 여러 개의 서버가 "읽기 작업"을 분산해서 처리함.
  • "쓰기" 작업도 빠르게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
  • 갑자기 사용자가 많아져도 자동으로 읽기 서버를 추가할 수 있어서 속도가 빠름.

📌 쉽게 말하면?
👉 RDS는 한 사람이 모든 주문을 받고 요리하는 가게,
👉 Aurora는 직원 여러 명이 동시에 주문을 받는 패스트푸드점 같아! 🍔

 

 

 

3️⃣ 복구 방식이 다름

📌 RDS:

  • 데이터베이스가 다운되면 백업본에서 복구하는 데 시간이 걸림.
  • 자동 백업이 되긴 하지만 복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 Aurora:

  • 데이터가 여러 곳에 복제되어 있어서 문제가 생기면 자동으로 다른 복제본을 사용함.
  • 장애가 생겨도 30초 이내에 자동 복구가 가능함.

📌 쉽게 말하면?
👉 RDS는 파일을 한 군데에 저장하는 것과 같고,
👉 Aurora는 같은 파일을 클라우드에 자동으로 여러 개 복사해 두는 것과 같아! 

 

 

 

 

🎯 정리

  RDS Aurora
데이터 저장 방식 한 서버에 저장 6개 복제본 저장
읽기/쓰기 처리 하나의 서버가 담당 여러 서버가 나눠서 담당
속도 일반적 자동 확장 가능, 최대 5배 빠름
장애 복구 복구에 시간이 걸림 30초 내 자동 복구 가능

 

RDS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Aurora는 성능과 안정성을 극대화한 업그레이드 버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