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공주의 일상
AWS RDS와 Aurora의 차이점 및 간단 비교 본문
1. 개요
두 서비스 모두 AWS 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인데, 간단하게 비교해보면 좋을것같다
2. 차이점 및 비교
두 서비스의 차이는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느냐"에 있다
1️⃣ 데이터 저장 방식이 다름
📌 RDS:
- 데이터베이스가 하나의 서버에 저장됨.
- 만약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백업한 데이터에서 복구해야 함.
- 읽기 속도를 높이려면 따로 "읽기 전용 복제본"을 만들어야 함.
📌 Aurora:
- 데이터를 6개의 복사본으로 자동 저장! (3개는 한 데이터센터에, 나머지 3개는 다른 데이터센터에)
- 한 곳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곳에서 자동으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어서 안정성이 높음.
📌 쉽게 말하면?
👉 RDS는 종이 책 1권을 쓰는 것 같고,
👉 Aurora는 같은 책을 6곳의 도서관에 둬서 어디서든 빌려볼 수 있는 것과 같아! 📚
2️⃣ 읽고 쓰는 방식이 다름
📌 RDS:
- 보통 한 대의 서버가 모든 읽기/쓰기 작업을 처리함.
- 부하가 커지면 읽기 전용 서버를 추가해야 해서 속도 확장이 어렵고 느림.
📌 Aurora:
- 기본적으로 여러 개의 서버가 "읽기 작업"을 분산해서 처리함.
- "쓰기" 작업도 빠르게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
- 갑자기 사용자가 많아져도 자동으로 읽기 서버를 추가할 수 있어서 속도가 빠름.
📌 쉽게 말하면?
👉 RDS는 한 사람이 모든 주문을 받고 요리하는 가게,
👉 Aurora는 직원 여러 명이 동시에 주문을 받는 패스트푸드점 같아! 🍔
3️⃣ 복구 방식이 다름
📌 RDS:
- 데이터베이스가 다운되면 백업본에서 복구하는 데 시간이 걸림.
- 자동 백업이 되긴 하지만 복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 Aurora:
- 데이터가 여러 곳에 복제되어 있어서 문제가 생기면 자동으로 다른 복제본을 사용함.
- 장애가 생겨도 30초 이내에 자동 복구가 가능함.
📌 쉽게 말하면?
👉 RDS는 파일을 한 군데에 저장하는 것과 같고,
👉 Aurora는 같은 파일을 클라우드에 자동으로 여러 개 복사해 두는 것과 같아!
🎯 정리
RDS | Aurora | |
데이터 저장 방식 | 한 서버에 저장 | 6개 복제본 저장 |
읽기/쓰기 처리 | 하나의 서버가 담당 | 여러 서버가 나눠서 담당 |
속도 | 일반적 | 자동 확장 가능, 최대 5배 빠름 |
장애 복구 | 복구에 시간이 걸림 | 30초 내 자동 복구 가능 |
✔ RDS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Aurora는 성능과 안정성을 극대화한 업그레이드 버전
'사이드 프로젝트 >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AM Identity Center와 IAM 차이점 (0) | 2025.02.17 |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DynamoDB의 차이점 (0) | 2025.02.13 |
AWS RDS 파라미터 중 암호 정책(password 정책) (0) | 2025.02.12 |
AWS RDS의 이해 (0) | 2025.02.11 |
2024 클라우드 진단 내역 (0) | 2024.01.2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