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공주의 일상
[W-47] 계정 잠금 기간 설정 본문
점검 내용
계정 잠금설정에 관련된 항목인데 . .항상 헷갈려서 정리해둔다.
기준은 아래와 같다.
양호 : "계정 잠금 기간", "다음 시간 후 계정 잠금 수를 원래대로 설정" 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60분 이상의 값을 권고)
취약 : "계정 잠금 기간", "다음 시간 후 계정 잠금 수를 원래대로 설정" 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않은 경우
여기서 두가지 조건을 보자.
1) 계정 잠금 기간 : 비밀번호를 임계값 이상 틀렸을때 잠기는 기간.
2) 다음 시간 후 계정 잠금수를 원래대로 설정 : 계정 잠금 수 초기화 되는 시간.
임계값이 5회라고 치고 예시를 보자.
로그인을 실패하게 되면, 카운트 수가 1부터 적립된다. 그리고 5회가 되면 잠기는데, 이 5회를 0회로 돌려주는데 걸리는 시간 설정하는게 2) 이다 . .
아래 예시를 보자
EX1) 계정잠금기간 : 10 분 / 다음시간후 : 10 분 (일치)
-> 5회 틀린 후 계정이 10분간 잠기고, 10분 후에는 틀린 횟수가 초기화 되어 0회가 됨.
-> 즉, 잠긴거 풀고나면 다시 5번의 기회가 생긴다는 뜻.
EX2) 계정잠금기간 : 10분 / 다음시간후 5분 (계정잠금기간 > 다음 시간 후 계정 잠금수를 원래대로 설정 )
-> 5회 틀린 후 계정이 10분간 잠기고, 10분 후에는 틀린횟수가 초기화 되어 0회가 됨.
-> 5분 후에 틀린 횟수 초기화가 내부적으로 먼저된다고 보면 됨.
-> 즉, 잠긴거 풀고나면 다시 5번의 기회가 생긴다는 뜻. 위와 동일.
-> 5번 이내로 틀리면 5분뒤에 초기화 됨.
EX3) 계정잠금기간 : 5분 / 다음시간 후 10분 (계정잠금기간 < 다음 시간 후 계정 잠금수를 원래대로 설정 )
-> 다음시간 후의 시간 설정이 더 길수가 없음. 자동으로 따라감.
-> 계정잠금시간 : 10분 / 다음시간 후 10분 으로 설정됨.
즉 항상 잠긴거 풀고나면 기회는 초기화 하도록 설계한듯 하다.
점검 방법
로컬 정책을 확인해!
'인프라진단 > 진단 항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용 MSSQL 인터뷰 및 스크립트 (0) | 2025.04.04 |
---|---|
[W-53] 로컬 로그온 허용 (0) | 2025.03.17 |
[W-35] 원격 레지스트리 서비스 (0) | 2025.03.13 |
[D-18] 인가되지 않은 Object Owner (0) | 2025.03.12 |
[U-58] 홈디렉토리로 지정한 디렉토리의 존재 관리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