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과 AWS 개념
개요
업무를 하면서 은근 클라우드 관련 지식이 필요할때가 있는데.. 조금 확실하게 이해하고 싶어서 강의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화이팅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요구가 있을때 즉시(On-Demand) IT 자원을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Pay Per Use)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전통적인 IT 구축환경은 주로 온프레미스인 경우가 많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온프레미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단점을 커버할 수 있는 다양한 이점이 있다.
온프레미스란?
- 자체적인 공간과 자원을 통한 구축
- A부터 Z까지 모든것을 직접 구축
- 공간과 물리적인 자원을 모두 소유
- 물리장비에 직접 접근 가능. 보안성 우수
- 추가 설계가 어려워서 애초에 설계할때 미래를 생각해서 설계해야함
-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자원 요구가 가변적이라서 탄력적인 유지 관리가 어려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유형
IaaS
클라우드 공급자가 인프라(하드웨어)만 제공하고 운영체제,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등을 사용자가 관리
PaaS
클라우드 공급자가 인프라 + 운영체제 + 미들웨어 + 런타임까지 제공. 사용자는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만 관리
SaaS
클라우드 공급자가 모든 자원을 관리하고 소프트웨어 형태로만 제공하는 것을 의미.
On-Premises
사용자가 하드웨어부터 앱까지 혼자 다 관리하는 것을 의미.
클라우드 구축 모델
퍼블릭 클라우드
클라우드 자원의 주체가 퍼블릭 클라우드 공급자에게 있음. AWS, CGP, AZ 모두 해당.
프라이빗 클라우드
자신만의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됨. 개인이 NAS 서버를 만드는 형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필요에 따라 두개를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AWS
AWS란 Amazon의 자회사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AWS는 리전과 가용영역이라는 형태로 광범위한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성한다
리전
클라우드 자원이 모여있는 지리적은 위치로 전세계에 31개 위치하고 있다.
가용영역
가용영역은 리전 내에 있는 데이터 센터의 집합이다.
AWS에서는 약 200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주요 서비스의 4가지 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컴퓨팅 서비스
클라우드 서버 자원에서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EX. EC2, ECS, EKS, Lambda 등
스토리지서비스
클라우드에 안정적이고 확장성 있는 데이터 스토어 서비스. S3서비스는 AWS에서 최초로 런칭했던 클라우드 서비스 이다.
EX. S3, EBS 등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완전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EX. RDS, Aurora 등
네트워킹 및 콘텐츠 전송
클라우드 내에 생성한 다양한 자원들의 내 외부 통신을 위한 서비스
EX. VPC, ELB, Route53 등
해당 서비스에 대해 조금 자세히 알아보자.
VPC
클라우드 사용자만의 가상 프라이빗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비스. 자신만의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고 자원을 배치하여 통신할 수 있다.
ELB
트래픽을 부하분산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서비스. 다수의 자원이 존재할때 트래픽을 분산하여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Route 53
관리형 DNS 서비스. 도메인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서비스가 있지만 일단 위에 세개가 가장 기초가 되므로 먼저 위의 서비스에 대해 이해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