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공주의 일상
CloudWatch와 CloudTrail 차이점 본문
반응형
1. 개요
AWS 내에서 CloudWatch와 CloudTrail은 AWS 리소스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지만, 목적과 기능이 다르다.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2. 서비스 차이점
🏷️CloudWatch | 🏷️CloudTrail | |
목적 | 리소스 성능 및 운영 모니터링 | 사용자 및 서비스 액세스 로그 기록 |
주요 기능 |
- CPU, 메모리, 네트워크, 요청 수 등의 실시간 성능 모니터링 - 알람(Alert) 설정 및 자동 조치 |
- AWS API 호출 기록(누가, 언제, 어떤 액션을 했는지) - 보안 및 감사를 위한 로그 저장 |
로그 유형 |
- 메트릭 기반(숫자 데이터, 차트로 시각화) (예: DynamoDB 읽기/쓰기 요청 수, Lambda 실행 시간) |
- 이벤트 기반(사용자 활동 기록) (예: 누가 EC2를 종료했는지, IAM 정책이 변경되었는지) |
사용 사례 |
- CPU 사용량이 높을 때 자동 확장(Scaling) - 특정 오류 발생 시 알림 설정 -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 |
- 누가 S3 버킷을 삭제했는지 추적 - 보안 사고 발생 시 감사 및 분석 - 규정 준수를 위한 사용자 활동 로그 저장 |
보관기간 | 기본 15개월(무료) | 기본 90일(CloudTrail 콘솔에서 조회 가능, S3에 저장하면 영구 보관 가능) |
비용 | - 기본 지표는 무료 - 고급 모니터링(로그 저장 등)은 비용 발생 |
- 최근 90일 로그 조회는 무료 - S3, CloudWatch Logs에 저장하면 저장 비용 발생 |
어떤 경우에 사용해야 할까?
🏷️ CloudWatch
-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 (예: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량, 네트워크 트래픽)
- DynamoDB 요청 수, Lambda 실행 시간, EC2 상태 감지
- 서버 장애 발생 시 자동 알람 및 대응 설정
🏷️ CloudTrail
- 보안 및 감사 로그 기록 (예: 누가 IAM 정책을 변경했는지 확인)
- API 호출 추적 (예: 특정 사용자가 언제 EC2를 시작했는지)
- S3, IAM, EC2 등의 변경 내역 확인
쉽게 정리하면 ?
- CloudWatch: "내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 CloudTrail: "누가, 언제, 무슨 작업을 했는지?"
비용 절감하려면?
- CloudWatch : 기본 제공 지표만 사용하고, 불필요한 맞춤 지표 & 로그 저장을 최소화
- CloudTrail : S3에만 저장하고 CloudWatch Logs 사용 최소화
- AWS Budgets를 설정해 예상 비용 초과 시 알람 설정
두 개를 함께 사용하면, 성능 모니터링 + 보안 감사를 모두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기능만 사용하면 대부분의 경우 무료로 운영 가능! 🚀
반응형
'사이드 프로젝트 >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AM Identify Center 패스워드 정책 설정 (0) | 2025.02.19 |
---|---|
DynamoDB에서 리소스 관리하는 방법 (0) | 2025.02.18 |
AWS Service Quotas와 Auto Scaling 차이점 (0) | 2025.02.18 |
IAM Identity Center와 IAM 차이점 (0) | 2025.02.17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DynamoDB의 차이점 (0) | 2025.02.13 |
Comments